-
2016/09/27 9:28 오후 #37146
Shared-Hosting은 서버 하나에 여러명의 사용자가 입주하는 형태입니다.
이게 싫다면 서버를 통째로 쓸수도 있겠죠?
돈을 내고 타인의 서버를 통째로 빌릴수도 있겠고… 그냥 서버를 내가 가지고 있으면 돈을 낼 필요가 없을겁니다.어차피 서버는 X86 기반입니다. X86에 OS 올리고 웹서버 프로그램 + DB 프로그램 깔면 그게 서버예요. 그걸 쪼개면 Shared-Hosting이고…
아무튼, X86용 OS에는 윈도우/맥OS/리눅스가 있죠? 거기에 웹서버 프로그램만 올리면 되는겁니다.
님께서 윈도우 쓰고 계시면 거기에 웹서버 프로그램을 깔고 활성화시키고 인터넷 연결돼 있으면 그때부터 서버처럼 쓸 수 있습니다. 컴 자원이 허락하는 한도 내에서 워드, 인터넷, 동영상… 등등 동시작업도 될겁니다.많은 분들께서 개발용으로 윈도우PC에 웹서버 프로그램 깔고 로컬로 작업하고 계십니다.
맘씨 좋은 분들께서 방법을 이미 공유해주고 계시니, 구글에서 “윈도우 웹서버 구축” 정도로만 검색해보셔도 방법은 많이 나옵니다.
https://kopress.kr/topic/설치에-관해-여쭙고자합니다
심지어 이곳에도 힌트가 될만한 댓글들이 있어요.여담이지만, 웹사이트 데이터/트래픽의 대부분은 이미지가 차지합니다.
이미지를 외부에 올리고 끌어오는 식으로 구성하면 전체 사이트데이터 크기는 비약적으로 줄어듭니다. 사이트 정식 런칭 전까지 이 방법으로 버티면 좋아요.
닷홈 같은데서 무료호스팅 300MB 주죠? 그거, 워드프레스로 사이트 하나 만들어보면 차고 넘치는 양이에요.
https://www.sobi.tips
이거 어제오늘 제가 완성한 건데(당연히 워드프레스 작업물입니다.), 사이트 데이터+DB 해서 31.6MB 찍습니다. 플러그인 비활성화 상태인 것 전부 지우면 30MB 미만으로 떨어질 수도 있어요.
또… https://studyforus.com 에서도 서버 자원이 허락하는 한 무료+무제한 호스팅 지원해주고 계십니다.그러니까 유료호스팅/무료호스팅/웹서버 직접구축/웹페이지를 온라인상에서 짤지 오프라인에서 만들어서 한번에 올릴지는
전적으로 사이트 구축자의 선택 문제라고 생각합니다.
파고드는만큼 길은 무궁무진하니까 여기저기 수소문해 보시고 가장 마음에 드는 방법을 골라서
“일단 실천하세요. ^^”2016/09/27 11:34 오후 #37147@jimnong 님 다운, 기름기 쫙뺀, 담백한 마크업이네요!! 멋있습니다. ㅎㅎ
저는 자꾸 css 로 떡칠을 하려는 경향이 있어서, 짐농님 같은 분들 사이트를 보면서 가끔 안구정화를 해야 한다는 생각이 듭니다. ㅋㅋㅋ
이글 참 맘에 듭니다.
https://www.sobi.tips/pre-menu/intent/
Attorney, front-end developer, digital media artist, WordPress enthusiast, & a father of 4 wonderful children.Lives in Colorado.
2016/09/28 9:24 오전 #37152긍정적인 말씀, 감사합니다.
저같은 경우는 @hackya 님처럼 css를 다양하게 활용하시는 사례를 자꾸 접하면서 이용법을 익히는 케이스라, http://hackya.com 이나 https://kopress.kr 처럼 워드프레스로 구축한 사이트들을 들여다보면서 실력이 많이 늘었습니다. “담백하다”고 표현하신 게 사실은 현재의 제 실력을 최대한 동원한 거예요 (이걸로 밥벌어먹겠다고 여기저기 쑤시고 다니면… 망할거예요.ㄷㄷㄷ).
좋은 말씀 들었으니, 힘내서 sobi.tips도 바퀴벌레처럼 악착같이 살려보겠습니다. 그리고 항상 좋은 팁 공개해 주시고 따라갈 수 있게 독려해주셔서 감사합니다. (Disqus도 Async로 잘 달았어요.)
2016/09/28 11:57 오전 #37158개인 PC로 서버 구축시 이거 한개만 주의 하시면 됩니다.
집에서 혼자 테스트 하면 잘 되는데 밖에서 접속 하려고 하면 안된다?
OS 방화벽 설정 하고 공유기 DDNS 설정.
외부로 나가는 포트를 보안상 막고 있거든요.
찾아보시면 공유기 회사별로 메뉴얼을 제공 합니다.
직접 서버 구축 해보시면 호스팅 회사가 하드디스크 나 RAM 같은걸로 어마어마한 돈을 갈취 하고 있음을 느끼게 됩니다 ㅎㅎ
총 금액을 따져보고 더 좋은쪽을 선택 하세요.
PS. 총 금액에는 전기세도 포함 됩니다. 꼭 전기세 따져보세요. 헬조선은 누진세 라는 제도 때문에 오히려 호스팅 회사의 고급진 서비스 이용비가 나을 수도 있습니다 -_-…
-
AuthorPosts
- 답변은 로그인 후 가능합니다.